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이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인데 감만은 그렇지 않다. 감의 씨앗을 심으면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. 그래서 3~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를 잘라서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. 감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해서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.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 처럼 아픔이 따른다. 그 아픔을 겪으며 선인의 예지를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. 감나무는 아무리 커도 열매가 한번도 열리지 않은 나무를 꺾어 보면 속에 검은 신이 없고, 감이 열린 나무는 검은 신이 있다. 이것을 두고 부모가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그 만큼 속이 상하였다 하여 부모를 생각하여 놓는다고 한다. 감은 씨가 8개여서 8방백 <8도 관찰사, 8도 감사>를 뜻한다. 8도 관찰사가 후손에 나오라는 의미이다. 이상과 같이 제사상의 주된 과일로 대추, 밤, 배, 감이 오르는 것은 이들이 상서로움, 희망, 위엄, 벼슬을 나타내는 전통적 과일이기 때문이다. [펌] Click! |
◐독자에게는정보plus; 회사에는경영plus◑ -
☞108년의역사:경남일보사랑모임제공☜
☞대한항공/아시아나,진주대리점☜
국내/해외/신혼여행;전세버스/비자발급
◐전국어디라도 안전을 500%담보하는◑
☎대륙고속관광;055-755-0003☎
'좋은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줌마라 부르지 마세요 (0) | 2017.04.26 |
---|---|
나누며 살아가자 (0) | 2017.02.24 |
안중근 의사에게 보낸 어머님의 마지막 편지 (0) | 2016.08.21 |
인생의 16가지 메세지 (0) | 2014.12.25 |
좋은 말씀 (0) | 2014.12.06 |